교착상태(DeadLock)의 발생 이유와 해결방법
2021. 11. 15. 18:31ㆍ[CS] Computer Science 정리
반응형
교착상태 : 프로세스가 자원을 얻지 못해서 다음 처리를 하지 못하는 상태
시스템적으로 한정된 자원을 여러 곳에서 사용하려고 할 때 발생
Ex) 프로세스1과 2가 자원 1,2를 모두 얻어야 한다고 가정
t1 : 프로세스1이 자원 1을 얻음 / 프로세스2가 자원2를 얻음
t2 : 프로세스1은 자원2를 기다림 / 프로세스 2는 자원1을 기다림
교착상태 발생 조건
1. 상호 배제 : 자원은 한번에 한 프로세스만 사용할 수 있음
2. 점유 대기 : 최소한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서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사용하고 있는 자원을 추가로 점유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가 존재해야함
3. 비선점 :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은 사용이 끝날 때 까지 강제로 빼앗을 수 없음
4. 순환 대기 : 프로세스의 집합에서 순환 형태로 자원을 대기하고 있어야 함
교착상태 처리
1. 예방 : 교착 상태 발생 조건 중 하나를 제거하면서 해결한다.
- 상호배제 부정 :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 사용
- 점유대기 부정 : 프로세스 실행전 모든 자원을 할당
- 비선점 부정 : 자원 점유 중인 프로세스가 다른 자원을 요구할 때 가진 자원 반납
- 순환대기 부정 : 자원에 고유번호 할당 후 순서대로 자원 요구
2. 회피 : 교착 상태 발생시 피해나가는 방법
은행원 알고리즘(Banker's Algorithm)
- 은행에서 모든 고객의 요구가 충족되도록 현금을 할당하는데서 유래함
-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구할 때, 시스템은 자원을 할당한 후에도 안정 상태로 남아있게 되는지 사전에 검사하여 교착 상태 회피
- 안정 상태면 자원 할당, 아니면 다른 프로세스들이 자원 해지까지 대기
반응형
'[CS] Computer Science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세스와 스레드] 프로세스와 스레드 정리 (0) | 2021.11.15 |
---|